안녕하세요! 서울에서 진료 보고 있는 의사, 민닥터입니다.
이번에는 여름철을 맞아서 다시 악화되고 있는 성인여드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여드름이 나는 이유
여드름은 털이 나오는 구멍인 모낭 속에 있는 피지선에 염증이 생겨서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정상적인 피부라면 적절한 피지 분비와 모낭의 환기로 인해서 노폐물을 배출하는 역할을 하며 균형을 맞추고 있지만, 일시적으로 몸의 상태에 따라 피지가 과분비 되거나, 모낭 입구를 각질들에 의해 막거나 하면 그 안에서 여드름을 일으키는 균이 번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염증이 생기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피지 분비가 활발해지는 사춘기에 주로 발생하는 피부 질환으로 많이들 알고 계실겁니다.
- 피지의 과분비
- 모낭 과각화 (각질)
- 여드름균 번식
- 염증 반응
최근에는 사춘기 아이들 뿐만 아니라, 생활 습관의 변화, 스트레스, 잦은 음주와 흡연 등으로 인해서 성인 여드름 환자도 많이 증가하였습니다. 특히 여성분들의 경우 생리 주기에 따른 호르몬 변화로 인해서 고생하시는 분들도 있고, 오히려 사춘기 때는 피부 고민이 없었지만 성인이 되어 여드름이 생기는 환자분들도 많았습니다. 그리고 성인 여드름은 사춘기 여드름과 다르게 특히 턱이나, 입 주변, 목에 잘 나타난다고 알려져있으나 피지분비가 활발한 얼굴 전체에 발생합니다.
불시에 찾아오는 성인성 여드름은 악화와 호전을 반복하기에 병원을 가기에 망설일 때가 많으실텐데요, 특히 요즘같은 여름철의 경우 덥고 습한 바깥과 춥고 건조한 실내를 자주 왔다갔다 하다보니 피지 분비가 많아 지고 각질층이 쌓여서 여드름이 악화되기 쉬운 환경입니다.
2. 여드름의 종류 및 진단
같은 성인 여드름이라고 할지라도 여드름의 종류는 다양한데요, 흔히 이해하기 쉽게 좁쌀여드름, 화농성 여드름으로 구분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좁쌀여드름이라고 부르는 질환들은 화이트 헤드, 블랙 헤드를 모두 이르는 말로 모낭의 과각화로 인해 피지선이 막혀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화이트헤드는 표피가 막혀있어서 산화되지 않아 하얗게 보이며, 블랙헤드는 표피가 열려서 산화에 의해 검게 보이는 상태입니다. 아직 염증 반응이 일어나지 않은 상태기에 각질 관리를 포함하여 초기 관리를 통해서 화농성 여드름으로 가는 과정을 막을 수 있습니다.
화농성 여드름은 좁쌀 여드름 형태에서 여드름균의 번식과 염증반응으로 인해 농(고름)이 피지선에 찬 상태입니다. 이때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한 상황으로 치료하지 않은 경우, 염증이 더 심해져서 깊고 붉은 흉터를 남길 수 있씁니다.
2-1. 여드름 vs 모낭염
여드름과 모낭염은 비슷하면서도 다른 질환이라서 혼동하는 경우가 많지만 치료가 다르며, 정확한 진단은 피부과 의사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여드름인 줄 알고 집에서 압출을 포함한 관리를 하다가 모낭염이 악화되는 경우도 많으니 이는 다른 포스팅에서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3. 성인 여드름의 치료
많은 여드름 환자 분들이 여드름을 굳이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하는지 여쭤보시곤 하시는데요, 심하지 않은 여드름은 자연스럽게 회복되기에 필요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나, 염증이 심한 경우 1-2주 지속되기도 하며, 여드름 흉터는 회복이 어려워 초기에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어서 가까운 피부과 의원 내원을 권고드립니다.
3-1. 항생제
여드름의 치료는 예방, 치료, 흉터 관리라는 차원에서 상당히 다양한데요, 기본적으로 피부과에 내원하여 급성기에는 항생제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항생제는 경구 항생제 (먹는 약)와 연고 형태(바르는 약)의 항생제로 나뉘게 되며, 급성의 범위가 넓은 경우, 미노사이클린, 독시사이클린, 테트라사이클린, 록시스로마이신 계열의 경구 항생제를 처방하게 되며, 국소적인 여드름의 경우 듀악겔, 디페린겔, 에피듀오겔, 크레오신티, 나딕사 등의 연고 처방이 가능합니다.
3-2 이소트레티노인 (Isotretinoin)
흔히 피지 억제제라고 알려져 있는 로아큐탄, 이소티논을 포함한 약입니다. 피지 분비를 완전히 말려버리기 때문에 심한 여드름의 경우에 좋은 효과를 보이지만 피부 건조, 안구 건조, 코피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고 특히 기형아 출산을 높이는 약으로 알려져 있기에 피부과 전문의의 지도와 판단에 따라서 사용하셔야 합니다.
3-3. 염증 주사
피부 깊숙한 곳에서 생긴 화농성 여드름은 압출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고 이를 억지로 압출하려다 보면 주변으로 염증이 더 번지거나 피부의 손상이 올 수 있기에, 병원에서 흔히 염증 주사라고 불리는 트리암시놀론 (triamcinolone acetonide) 주사가 필요하며, 압출 없이도 염증을 빠르게 가라 앉히기 때문에 많은 환자분들이 선호하는 치료입니다.
이외에도 레이저 치료, 각질 관리 등의 예방 및 흉터 관리 역시 피부과에서 진행할 수 있기에 이에 대해서는 추가 포스팅으로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오늘 성인 여드름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요, 적절한 진단과 치료는 전문의의 직접적인 판단이 필요하므로 피부과 전문의 병원에 가셔서 진료보시기를 바라겠습니다.
'의학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KP3 코로나 변이 알아보기: 미국, 일본 코로나 재유행 (1) | 2024.07.26 |
---|---|
모낭염과 여드름 구분하기: 모낭염 증상, 원인, 치료, 예방 한번에 (0) | 2024.07.25 |
일본에서 코로나 검사하기: 일본 코로나 재유행, 확진자 증가, 검사, 자가키트 (0) | 2024.07.23 |
여드름 약국 연고, 제품 총정리 (6) | 2024.07.23 |
지루성 피부염이란? 증상, 원인, 치료, 샴푸 정리 한번에! (1) | 2024.07.21 |